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겨울 왕국" 주요 등장인물, 메시지, 그리고 음악의 힘

by view5781 2024. 12. 24.

영화 겨울왕국
영화 겨울왕국

 

2013년에 개봉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Frozen)"은 안데르센의 동화 "눈의 여왕"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된 영화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흥행돌풍을 일으키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아름다운 겨울풍경과 귀여운 캐릭터 그리고 영화의 내용과 어울리는 주제음악, 진정한 사랑의 의미, 희생과 용기 등의 영화가 주는 메시지등 여러 요소들이 어우러져 관객들의 큰 사랑을 얻었다. 특히 주제곡 "Let It Go"는 어른 아이 할 거 없이 모두가 따라 부르는 노래로 세계적인 히트를 치면서 겨울왕국의 상징적인 요소가 되었고 개봉 이후 오랫동안 신드롬이 되었다. 그렇다면 이렇게 겨울왕국이 관객들의 큰 사랑을 받은 이유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자.

주요 등장인물

엘사 : 엘사는 얼음과 눈을 다루는 능력을 지닌 아렌델 왕국의 공주로 어렸을 때부터 이런 자신의 능력 때문에 두려움과 고립된 삶을 살아가야만 했다. 부모님이 어느 날 갑작스럽게 돌아가시면서 아렌델 왕국의 여왕이 되었지만 자신이 숨겨왔던 통제할 수 없는 힘이 폭발하며 왕국이 영원한 겨울에 갇혀버리게 되고 자신의 정체성이 흔들리게 된다. 엘사는 자신의 능력 때문에 스스로 내적 갈등과 정체성의 혼란으로 괴로워하고 힘들어하지만 이 또한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랑과 희생을 통하여 성장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결국 아렌델 왕국과 사랑하는 동생 안나를 구해낸다.

안나 : 안나는 엘사의 동생으로 따뜻한 마음과 강한 의지를 지닌 인물로 낙천적이고 사랑스러운 공주의 전형을 보여주지만 반면 언니 엘사와 다르게 지나치게 즉흥적이고 순진하며 훨씬 인간적이고 현실적인 면모를 가진 캐릭터이기도 하다. 그리고 언니를 구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모험을 떠나는 용기도 가지고 있다. 안나는 사랑을 갈망하고 자신의 생명을 엘사를 위해 내놓을 정도로 열정적이고 따뜻한 성격을 가진 인물이다. 그래서인지 관객들은 엘사보다는 안나에게 더 친근한 감정을 느끼며 공감대를 더 많이 형성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크리스토프 : 크리스토프는 얼음 채취꾼으로 주로 디즈니 남자 주인공으로 보여주는 왕자도 영웅적인 캐릭터도 아닌 그저 현실적인 인간형으로 그려진다. 스벤이라는 이름의 순록과 함께하며 이와 끈끈한 관계를 통해 사람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안나와의 관계에 있어서 안나의 여정에서 동료와 친구로 그녀를 지지해 주고 협력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현대적인 남성상에 더 가깝게 표현되고 있다.

울라프 : 엘사의 마법으로 태어난 존재로 어린 시적 두 자매가 함께했던 행복한 추억을 상징하는 눈사람이다. 울라프는 자신이 눈사람임에도 불구하고 따뜻한 여름을 동경하고 자신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하면서도 낙천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주변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울라프는 관객들에게 웃음을 유발하면서도 희생과 사랑, 순수함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캐릭터로 관객들에게 웃음과 깊은 감동을 동시에 선사하는 캐릭터이다.

겨울왕국이 주고자 하는 메시지

엘사의 이야기에서 엘사는 자신의 힘과 능력을 숨기려 하고 오히려 이를 두려움으로 여기며 자신을 고립시키려 한다. 하지만 스스로를 이해하고 이를 받아들이며 사랑하는 법을 배우면서 그녀는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보듯 겨울왕국은 자기가 가진 약점이나 두려움을 받아들이고 이를 성장의 발판으로 삶을 때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진정한 자신을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아렌델을 구하기 위해서는 진실한 사랑만이 가능하다는 예언을 처음엔 그저 남녀 간의 사랑만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여기 겨울왕국에서는 진정한 사랑은 자매간의 사랑으로 표현된다. 안나가 엘사를 위해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는 장면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고 결국 이 두자매의 사랑으로 자신의 왕국을 구해내는 모습은 사랑이 남녀 간의 사랑만이 사랑이 아니라 사랑에는 자신을 희생하는 다양한 사랑의 형태가 존재함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겨울왕국은 두려움이 우리의 삶을 얼마나 통제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어린 시절 엘사는 자신의 능력이 다른 사람을 해칠까 두려워 스스로를 가두고 숨기려고 애쓰며 살았는데 이 두려움을 극복하면서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찾게 되고 자신의 능력을 이롭게 행사하는 방법 또한 터득하게 된다. 이는 자신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개인에게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보여주는 것이며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용기를 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엘사와 안나는 오랜 시간 소통을 하지 않은 시기가 있었지만 그 둘은 서로를 향한 믿음과 사랑은 변치 않았다. 이렇듯 서로를 향한 믿음과 사랑은 어떤 관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겨울왕국은 중요한 메시지로 전달하고 있다.

겨울왕국이 전달하는 음악적 힘

겨울왕국을 논할 때 음악적 요소를 빼놓을 수 없다. 여기에서 음악은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극 중 캐릭터의 감정을 극대화하고 영화의 주제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Let It Go"는 엘사의 내적 갈등과 이를 극복해 가는 과정을 대신해서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자신을 억누르던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극복해 내는 순간을 잘 표현해 내고 있다. 그리고 "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은 안나와 엘사의 어린 시절과 두 사람 사이의 단절을 서정적으로 보여주며 서로의 외로움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이 음악으로 관객들의 감정이 두 캐릭터의 감정과 자연스럽게 연결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겨울왕국에서 부르는 곡들은 따라 부르기도 쉽고 멜로디가 기억에 잘 남도록 만들어져있다. 그래서 어린이와 성인 모두 함께 즐길 수 있어서 누구라도 쉽게 따라 부르게 되어 영화뿐만이 아니라 음악으로서도 큰 성공을 이뤄냈다. 이렇듯 음악에 캐릭터의 감정과 그 감정의 변화를 잘 연결시켜 음악과 이야기가 서로 조화되게 함으로써 음악을 들으면서 그 캐릭터의 감정을 관객이 함께 호흡하게 함에 따라 더 영화에 몰입할 수 있게 만들고 감정적으로도 더 동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영화에 더 공감하고 빠져들 수밖에 없도록 하는 작용을 음악이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겨울왕국이 세계적으로 흥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한 가지가 아니라 각각의 캐릭터가 주는 매력과 이야기, 그리고 이영화가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관객들에게 큰 감동과 공감대를 형성했기 때문이고 마지막으로 극 중 캐릭터의 감정을 극대화시켜 주고 순간순간 음악이 극 중의 내용과 잘 어우러지게 조화되면서 관객이 감정적으로 동화되고 공감하면서 영화에 빠져들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누구나 따라 부를 수 있는 멜로디의 주제곡들은 영화를 본 관객들이 영화를 본 한참 후에도 영화의 여운에 젖게 만들고 음악을 들을 때마다 영상과 교차하는 경험을 만들어 주었기 때문에 더 긴 여운으로 남게 되는 계기가 되어 주었다고 본다. 겨울왕국은 단순히 시각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소리와 음악을 통해 영화의 세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든 작품이다. 음악은 관객들이 영화에 더욱 깊이 몰입할 수 있게 만들었고 감동은 깊은 여운으로 남았다.